대륙과 대양을 건너 맺어진 친선의 력사

11월 16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앙골라공화국사이의 외교관계설정 45돐이 되는 날이다.

아시아대륙의 동쪽에 자리잡고있는 우리 나라와 아프리카대륙의 서남부에 위치하고있는 앙골라는 서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있지만 두 나라사이의 관계는 반세기이상의 오랜 력사와 전통을 가지고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수십년전부터 제국주의자들의 식민지예속을 끝장내기 위한 앙골라인민의 민족해방투쟁을 물심량면으로 적극 지지성원해주었다.... ... ... 더보기

빼앗길수 없는 권리

1988년 11월 15일 팔레스티나국민리사회는 알제리에서 비상회의를 열고 이스라엘이 강점한 팔레스티나땅에 팔레스티나국가를 창설한다는것을 엄숙히 선포하였다.

이날의 선포는 이스라엘의 강점을 반대하여 최후의 승리를 이룩할때까지 끝까지 싸우려는 팔레스티나인민의 불굴의 투쟁정신의 힘있는 과시였다.

독립국가를 창설하려는 팔레스티나인민의 이 강렬한 념원과 의지는 빼앗긴 령토를 되찾고 합법적인 민족적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오늘의 힘찬 투쟁에로 줄기차게 이어지고있다.... ... ... 더보기

변하지 않은 령토강탈야망

최근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의 강한 반발과 우려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팔레스티나령토인 요르단강서안지역과 동부꾸드스의 유태인정착촌들에 수천세대의 유태인주택들을 새로 더 건설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것은 팔레스티나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유엔결의들과 국제법에 대한 공공연한 도전이며 팔레스티나인민들의 생존권을 깡그리 말살하려는 반인륜적범죄행위이다.

중동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이스라엘의 령토강탈책동은 그 무엇으로써도 정당화될수 없다.... ... ... 더보기

수자경제건설을 지향하고있는 아프리카나라들의 노력

최근 아프리카나라들이 《지능형 아프리카》를 건설할 목표밑에 수자경제건설을 하나의 정책으로 제시하고 이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있다.

많은 나라들이 수자경제건설을 전문 담당해보는 기구 또는 직제를 내오고 수자경제전략을 세우는 등 이 사업을 정책화하는 방향으로 나가고있다.

나이제리아, 르완다, 우간다, 기네, 말리 등 여러 나라들이 수자경제를 맡아보는 성기관들을 새로 내오거나 이미 있던 기관들에 수자경제관리직능을 추가하고 담당특별고문을 임명하는것을 비롯하여 기구체계를 개편하고있다.... ... ... 더보기

대외관계를 확대발전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있는 아세안

최근 대외관계를 확대발전시키기 위한 동남아시아국가련합(아세안)의 노력이 적극화되고있다.

아세안은 특정세력에 의한 강권과 전횡이 더욱 횡포해지고 힘의 정치가 만연되고있는 오늘의 복잡한 국제정세에 대처하여 자기의 중심적지위와 역할을 부단히 높여나가기 위한 대외관계의 다각화를 지향하고있다.

이로부터 아세안과의 관계발전을 희망하는 나라들의 수도 계속 늘어나고있다.... ... ... 더보기